무더운 여름, 기나긴 장마가 걷히고, 본격적인 휴가시즌입니다. 지칠 대로 지친 현대인들에게 가족도 좋고, 홀로 여행도 좋은 그런 숲길을 걸어보면 어떨까요.
울진 금강소나무 치유의 숲길
보부상길
♣ 산림유전자보호구역과 천연기념물인 산양(야생동물) 서식지가 포함되어 있는곳
■ 1구간(보부상길)
◀ 1구간(보부상길): 편도 13.5 Km(7시간 소요, 난이도 중상)
두천 1리(내성혱상불망비)→바릿재(1.2km)→장평(1.8km)→찬물내기(6.5km)→샛재(7.8km)→대광천(9.8km)→ 저진터재(12.2km)→ 소광 2리(13.5km)
◀출발지 주소: 경북 울진군 북면 두천리 232번지 소광 2리→
버스시간 16:20(요금:3,000원)
- 울진내성행상불망비 : 1890년경 울진과 봉화(춘향)를 왕래하면서 해안지방의 해산물과 내륙지방의 곡물등을 물물교환하며 상행위를 하던 보부상과 선질꾼들이 그들의 안전한 상행위를 도와준 접장 정한조와 반수 권재만에 대해 은공을 기리기 위해 세웠다.
- 찬물내기쉼터: 찬물내기는 예부터 이곳에서 찬물이 샘터가 있었다고 하여 지어진 이름이다. 여름에는 차고, 겨울에는 따뜻한 찬물내기 물은 두천마을과 읍내를 지나 동해바다로 간다. 찬물내기 쉼터는 1구간(보부상길)의 중간 지점으로 점심식사 장소이다.
- 대광천 가는 길: 말무덤을 지나 조령에서 대광천에 이르는 길은 살아서 꼭 걸어야 할 길중의 하나로 4계절 언제나 예쁜 길이다. 평탄한 길과 돌다리는 옛 모습 그대로다. 맨발로 걷기에도 좋다.
한나무재길-소금보다 더 짠 보부상의 땀방울
◀2구간(한나무재길) - 편도 9.6km(4시간 소요, 난이도 중)
전곡리 → 쌍전리 산돌배나무(1.5km)→큰 넓재(4.1km)→한나무재(5.7km)→소광 2리(9.6km)
◀ 출발지 주소: 경북 울진군 금강송면 전곡리 산 45-45
※우리나에서 가장 오래된, 천년기념물 408호로 지정된 쌍전리 산돌배나무(수령 약 250년)가 있으며, 옛날 보부상들이 내륙지방으로 소금, 미역, 어물을 짊어지고 넘나들던 십이령(열두 고개)중 두 고개가 탐방로.
- 큰 넓재의 화전민 독가촌: 큰 넓재로 가는 길은 옛길이 그대로 있어 당장 걸어도 무리가 없다. 한나무재를 내려서면 출발 두 시간 거리에 삼거리가 나오고 독가촌이 보이는데 재의 이름을 따서 그냥 큰 넓재라고 부른다. 과거에는 화전민들의 집 십여 채가 있었다고 한다.
- 산돌배나무(천연기념물 제408호) : 닥발골에서 또 한 모퉁이 돌아서면 쌍전리 산돌배나무가 있는 큰 닥발골이다. 현재 우리나라에 있는 산돌배나무 중에서 가장 크고 오래된 나무로 생물자원으로서의 보존가치가 크다. 수령이 약 250년이고, 높이 25m, 가슴높이 4,3m이다.
- 구암사: 숲길은 양원역을 돌아보고 다시 강을 건너와서 구암사로 간다. 양원역에서 30여 분이면 구암사에 도착한다. 구암사는 2구간(한나무재길) 종료 3km쯤 전에 있는 절이다. 구암사에서 광비정류장까지는 마을길을 따라간다.
오 백 년 소나무길-조선왕실의 염원이 담긴 울진금강송
◀3구간(오 백 년 소나무길): 중)
소광 2리(소광리펜션)→저진터재(1.2km)→너삼밭(3.0) km→화전민터(6.8km)→군락지초소/오 백 년 소나무(7.8km)→화전민터→너삼밭→저진터재→소광 2리(펜션)
◀ 출발지주소: 경북 울진군 금강송면 소광리 657번지(금강펜션)
생태경영림으로 지정된 우리나라 최고의 금강송군락지를 볼 수 있는 탐방로, 왕복이지만 가는 길, 오는 길이 달라 중간에 나갈 수 없습니다.
- 금강송펜션과 십이령주막:소광초등학교는 1947년에 설립됐다. 삼근초등학교 분교로 설립돼 1954년에 본교로 승격했으며, 한때 재학생이 103명에 이르렀으나, 1995년에 3명의 학생을 끝으로 폐교되었습니다. 지금은 주민들이 금강송펜션과 십이령주막을 운영하고 있습니다.
- 소광리 금강송 군락지: 이곳은 우리나라 최대으 금강소나무 군락지입니다. 오랜 시간을 지나면서 일제강점기의 엄청난 금강송 수탈에도 훼손되지 않고 남아 있게 된 가장 큰 이유는 이곳이 산이 깊고 교통의 오지로 사람의 침범을 막았기 때문입니다.
화전민옛길-조선왕실의 염원이 담긴 울진금강송
◀3-1구간(화전민옛길): 왕복 9.0km(4시간 소요, 난이도 중)
소광 2리(펜션)→너삼밭-옛 화전민마을→공군터→지심곡→소광 2리(펜션)
◀출발지주소: 경북 울진군 금강송면 소광리 657번지
숲길에서 가장 짧은 구간으로 과거 마을주민들이 이용하던 숲길로 금강소나무를 관람할 수 있는 구간입니다.
- 병정소나무 : 6대의 아름드리 금강소나무가 한 줄로 서 있는 모양이 병정들이 정렬하고 있는 것 같은 모습을 하고 있어서 '병정소나무'라 부릅니다. 과거 송진채취로 인한 아픈 흔적이 남아 있습니다.
- 부채소나무: 소나무 가지가 곧으면서 넓게 펼쳐져있는 모습이 부챗살 모양을 닮았다 하여 '부채소나무'라고 부릅니다.
대왕소나무길-600년 된 보호수 대왕소나무
◀4구간(대왕소나무길): 왕복 10.48km(5시간 소요, 난이도 중)
너삼밭→대광천(0.7km)→아래새재(1.6km)→썩 바골폭포(2.7km)→대왕송(5.4km)→조령성황사(7.8km)→대광천(9.78km)→너삼밭(10.48km)
◀출발지주소: 경북 울진군 금강송면 소광리 539-1
● 대왕소나무: 수종-소나무
수령-600년 추정
수고-14m
흉고직경-1.2m
● 썩 바골 폭포: '석골'이라 하여, '돌이 많은 골'이란 뜻으로 '석바위골'이며, 주민들은 '썩 바골'이라 부릅니다. 시원한 물줄기 주변에는 원시림이 잘 보전되어 있어, 사계절 내내 희귀종 식물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.
●조령성황사: 십이령 중 4번째로서 조령이라 하며, 샛재의 이름을 따서 조령성황 사라고 합니다. 보부상들의 신변의 안전과 성공적인 행상을 기원하며 제사를 지낸 곳으로, 보부상들과 마을주민들이 함께 건립한 것으로 조령성황사 내부에 있는 현판은 중수할 때 기부한 사람들 1천여 명의 명단이 15개의 현판에 적혀 있습 니다.
보부천길-600년 된 보호수 대왕소나무
◀5구간(보부천길): 편도 15km(7시간 소요. 난이도 상)
두천 2리→보부천길(5km) →대왕소나무(5.8km)→ 삼거리분기점(6.2km)→ 샛재(7.2km) →찬물내기(8.5km)→ 바릿재(13.8km)→ 두천리(15km)
◀출발지 주소: 경북 울진군 북면 두천리 232번지
●대왕소나무 : 수종-소나무
수령-600년 추종
수고-14m
가슴높이지름: 1.2m
●조령성황사: 보부상들이 신변의 안전과 성공적인 행상을 기원하며 제사를 지낸 곳으로, 보부상들과 마을 주민들이 함께 건립하였습니다.
●문화재용 목재 생산림: 문화재 보수, 복원에 소요되는 금강소나무 특대재를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4,137그루가 지정 되어 있습니다.
가족탐방로-금강소나무 군락지
◀가족탐방로: 왕복 5.3km(3시간 소요. 난이도 하)
산림수련관→ 오 백 년 소나무(1.8km) →미인송(2.3km) →산림수련관(5.3km)
◀출발지 주소: 경북 울진군 금강송면 대광천길 83(산림수련관)
조선 숙종 시기부터 지정 관리 되어 온 금강송군락지는 천연의 자연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으며, 1959년 육종림으로 지정된 후부터 지속적인 관리로 보호수인 500년 소나무와 금강소나무를 한눈에 볼 수 있는 관망대가 있습니다.
- 500년 소나무(보호수) : 금강송군락지의 최고령(530년) 소나무인 일명 오백 년 소나무 또는 할아버지 소나무라고 합니다. 보호수로 지정되어 있으며 외형에서 풍겨지는 소나무의 강인함과 아름다움이 돋보이는 금강송군락지의 상징목이라 할 수 있습니다.
- 미인송 : 곧게 뻗어 잘생긴 나무는 미인송이라 불리는 나무로 수령이 약 350년, 수고 35m, 가슴높이 직경 88cm으로 줄기가 곧게 하늘로 뻗어 있고, 지하고가 높아 금강소나무의 특징을 한눈에 알 수 있습니다.
- 관망대의 금강소나무 : 사방에 펼쳐진 소나무의 풍경을 한눈에 볼 수 있는 관망대입니다. 맑은 날도 장관이지만 비가 오거나 안개구름이 많은 날 이곳에서 보이는 금강소나무의 모습은 선계를 연상케 하는 장관을 이루는 곳입니다.
이상으로 힐링할 수 있는 가족, 연인, 동료, 홀로 여행을 해도 좋을 그런 치유의 숲길입니다. 현대인들의 스트레스 해소로 숲길을 걸으면서 생각을 정리하는 시간이 되어보면 좋겠습니다.
울진금강소나무숲길
알림판 이전 슬라이드 슬라이드 멈춤 슬라이드 시작 다음 슬라이드
www.foresttrip.go.kr
숲나들이 e 고객센터 1588-3250